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스탈린그라드 전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시 외곽의 전투 === ||<tablealign=center><tablewidth=800><tablebordercolor=#536349,#333333><tablebgcolor=white,#1f2023><nopad> [[파일:external/thoughtsonmilitaryhistory4.weebly.com/239408_orig.jpg|width=100%]] || ||<rowbgcolor=#536349,#222222><rowcolor=white> 노획한 [[PPSh-41|{{{#fff PPSh-41}}}]][* PPSh-41은 많은 장탄수와 강력한 연사력, 소구경 고속탄에서 나오는 관통력(강철 재질의 공병 방편조끼나 병사들의 철모를 다른 권총탄으론 뚫기 어려운 먼 거리에서도 간단히 뚫어제꼈다.)으로 독일군에게 노획품으로 인기가 많았으며, 고질적인 생산량 부족에 골머리를 앓던 독일군 당국은 이를 MP717(r)로 명명하고 수리 키트를 제공해 제식 채용하기도 했다. 반대로 소련군 또한 독일군의 [[MP40]]에 대해 제법 호평하고 역시 노획도 많이 했다. 1993년 독일 영화 스탈린그라드에서도 이러한 부분이 반영되어, 독일군들이 소련제 기관단총을 노획해서 사용하는 장면이 나온다.] [[기관단총|{{{#fff 기관단총}}}]]을 든 독일 육군 제305정찰[[대대]][[대대장|장]] 빌헬름 트라우프(Wilhelm Traub) [[대위]][* 사진이 찍힐 당시 실 계급은 대위였으나 하필 오른쪽 [[견장]]의 핍이 하나 빠진 탓에 [[중위]]로 자주 오인된다(다른 각도로 찍힌 [[https://albumwar2.com/wp-content/uploads/2018/03/03449.jpg|사진]]을 보면 왼쪽 견장의 핍은 정상적으로 3개임을 알 수 있다). 트라우프는 이후 스탈린그라드에서 1943년 1월 5일 작전 중 실종되었고, 1944년 정식 전사 처리됨과 동시에 [[소령]]으로 [[특진]]했다.] || ||<tablealign=center><tablewidth=800><tablebordercolor=#536349,#333333><tablebgcolor=white,#1f2023><nopad> [[파일:Bundesarchiv_Bild_183-J20510%252C_Russland%252C_Kampf_um_Stalingrad%252C_Luftangriff_crop.jpg|width=100%]] || ||<rowbgcolor=#536349,#222222><rowcolor=white> 스탈린그라드로 비행중인 [[Ju 87|{{{#fff Ju 87}}}]] 폭격기 || 독일군은 공격에 앞서 [[루프트바페]]에 스탈린그라드를 폭격하여 완전히 폐허로 만들 것을 요청했고 스탈린그라드는 무차별 폭격을 받았다.[* 물론 [[독일 본토 항공전]]에서 적지 않은 피해를 입고 서방 연합국에 대한 방어가 필요했기 때문에 생각만큼 소련에서 충분히 공군을 활용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스탈린은 피난 행렬이 방위 부대의 소통에 방해되면 안 된다는 이유로 시민들이 피난하는 것을 금지해 버렸고 남녀노소를 불문한 민간인이 방위망을 구성하기 위해 동원되었다. 이 때문에 수많은 민간인 희생자가 속출했다. 8월 23일부터 48시간 동안 독일 공군은 1,000톤 이상의 폭탄을 도시에 투하했다. 리처드 오버리의 표현을 빌리자면 루프트바페는 도심 전역을 활활 타오르는 불지옥으로 만들었다.[* 기존에 알려진 4만명 사망설은 지극히 과장되었다. 1942년 7월부터 10월까지 소련 민방위 당국이 집계한 민간인 사망자가 3,931명인데 전투로 인한 행정력 마비를 감안해도 지나치게 과장된 것은 맞다. 스탈린그라드에 배치된 독일 공군 세력은 비행기 600기이고 폭격기는 연합군이 보유한 [[전략 폭격기]]가 아니라 지상 지원용 중형 폭격기였으므로 저 비행기가 전량 폭격기라 하더라도 4만명을 죽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스탈린그라드 주민이 스탈린그라드 전투로 극심한 인명피해를 입은 것은 사실이다. 볼고그라드 시당 문서고의 불완전한 기록에 따르면 4만 2,754명이 사망했고, 역사가 타티야나 파블로바의 추산에 따르면 스탈린그라드 주민 18만 5,232명이 전투와 폭격에 휘말려 살해되었다고 한다. 개중에는 소련군 전투부대 또는 보조인력으로 근무한 자가 상당수일 것으로 추정된다.] 독일군은 쾌조의 진격을 계속해 선도 부대인 독일 육군 제16기갑사단이 볼가강 북서쪽에 성공적으로 진출했고 마침내 완전히 불바다가 된 스탈린그라드에 16기갑사단을 선두로 진입을 시작했다. 이들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은 [[여군]] 지원병[* [[군필 여고생|주로 고등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한다.]]]으로만 이루어진 [[제1077대공포연대]]였으나, 이들은 육상 목표에 대한 훈련은 거의 받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전멸할 때까지 싸웠으며, 이들을 섬멸한 독일 육군 제16기갑사단 병사들이 앳된 소련 여군들의 시체를 발견하자 [[총동원령|불길한 예감이 뇌리에 스치기 시작했다.]][* 현대에는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여군 또한 전투병과에서 활동할 수 있게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 당시 여군들은 모두 비전투병과 보직을 맡고 있기 때문에 전투병으로 활동하는 경우는 비교적 드물었다.] [[http://cpacibodedu.ru/article/3538-u_voynyi_ne_jenskoe_litso/|2016년에 올라온 실제 참전용사 할머니들을 인터뷰한 기사]]를 보면 이 전투에서 1077연대의 생존자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현대전에서 '전멸'이라는 말이 글자 뜻과는 달리 부대가 전투 능력을 상실할 정도의 큰 피해를 입었을 때 쓰인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체 부대의 약 30% 이상 무력화되었을 경우 전멸이라고 본다. 현대의 군 편제상 육군은 일반적으로 실제 전투 인원은 30%고 나머지 70%는 보급 등을 담당하는 전투보조 인원이므로 전투 인원만 잃어도 더 이상의 유의미한 전투수행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부대 자체는 스탈린그라드 이후에도 있다가 1945년 종전에 해체되었으며, 생존한 참전용사들은 전후 훈장까지 받고 지금까지 잘 살아있다고 한다. 기사엔 참전용사들의 자세한 증언이 실려있는데 처음엔 겨우 75명 정도가 투입되었지만 나중엔 지원이 와서 전차와 장갑차의 지원도 받아가며 싸웠고, 한 할머니에 따르면 본인이 있던 중대엔 20명의 소녀 포병들이 있었는데 모두 마지막까지 용맹하게 싸웠다고 한다. 또한 독일군이 [[볼고그라드 트랙터 공장|스탈린그라드 트랙터 공장]][* 볼가강을 따라 스탈린그라드 외곽 북동쪽에 위치한 공장으로, 독소전쟁이 터지자 군수공장으로 징발되어 T-34 전차를 가장 많이 생산한 공장들 중 하나가 될 정도로 소련군 기갑 전력의 든든한 반석이었다.] 앞 대로까지 진격하자 새로운 반격에 직면했다. 전혀 예상치 못했던 [[T-34-76|T-34]] 전차들이 시가지 내에서 끊임없이 출현한 것이다. 정찰 부대가 스탈린그라드 내부의 소련군의 대규모 전차부대에 대해선 통보한 바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소련군 전차들의 등장은 미스터리였다. 이들은 도색과 기관총 장착도 못한 미흡한 상태로 그대로 나온 미완성 전차들이었으며, 공장의 작업자들은 공장 안까지 총탄이 날아드는 상황에서도 전차를 조립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고, 후방의 아군에게 시간을 벌어주기 위해 자신이 만든 전차에 스스로 [[전차 승무원]]이 되어 전차를 몰고 독일군을 향해 돌격했다. 이후 노동자들은 [[T-34-76|T-34]]를 생산할 강철과 조립부품이 다 떨어지자 소총을 들고 교전했다. [[https://worldoftanks.asia/ko/news/history/gaudi_stalingrad_battle/|#]] 이때부터 소련군은 독일 공군이 파괴한 건물 속에서 갑자기 튀어나와서 격렬한 반격을 가하기 시작했고 16기갑사단은 오히려 역습을 받고 후퇴해야 했다. 강력한 저항에 가로막혀 도시에 진입하는 데 실패한 독일군은 서쪽에서도 진입을 시도했으나 이 역시도 소련군의 저항에 막혀 성공하지 못했다. 남쪽에서 4기갑군이 진격을 시도했지만 이조차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하지만 싸움이 격렬해지면서 지리에 익숙해진 독일 4기갑군은 결국 스탈린그라드 남쪽에서 소련 64군의 좌익을 붕괴시키는 데 성공했고 이때를 틈타 독일 6군이 진격을 개시해 스탈린그라드 북쪽을 방어하던 소련 62군의 방어선을 삽시간에 무너트리고 스탈린그라드 외곽 방어선을 완전히 붕괴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제 스탈린그라드 점령은 그야말로 식은 죽 먹기 같이 보였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800><tablebordercolor=#536349,#333333><tablebgcolor=white,#1f2023><nopad> [[파일:스탈린그라드 경계.jpg|width=100%]]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